성서 식물
(Neot Kedumim에 있는 식물) - (* 괄호안의 번호는 성서식물원에 있는 번호임)
(101) 백향목 (cedar, אֶרֶז): 원산지 - 레바논. 최대높이 - 30m, 건축 재료로 사용. 깊은 토양과 물을 필요로 함. 왕권, 능력, 자부심을 상징. ①성전건축의 재료(왕상 5:5,6 등) ②궁전건축의 재료(삼사 5:11 등) ③우상을 만듬(사 44:14,17) ④물품상자의 재료(겔 27:24)
(102) 우슬초 (hyssop, אֶזוֹב): 토양과 물이 거의 필요가 없어 어디서나 잘 자람. 향을 내는 재료, 방부제, 의학적 용도, 독을 제거하는 효과. 마른 가지는 불을 붙이는데 사용. 겸손과 정결을 상징.
①제물의 피를 적셔서 뿌리는데 사용(출 12:22) ②예수께 신 포도주를 드릴 때 사용(요 19:28,29)
③영적인 정결을 상징(시 51:7)
백향목과 우슬초 (Cedar & Hyssop) : 교만과 겸손
백향목은 그 원산지가 레바논인데 우뚝 솟은 나무로 그 높이가 30m까지 이른다. 이 나무는 깊은 토양과 풍부한 물을 필요로 하는 나무이므로 이스라엘에서는 자라지 못하여 건축의 재료로서 레바논에서 수입을 하였다. 솔로몬 왕은 값비싼 레바논의 백향목 통나무를 수입하여 예루살렘의 성전 내부 장식을 하였고 ‘레바논나무 궁(대하 9:16,20)’을 만들었다.
우슬초는 백향목과 대조되는 식물로 겸손하게 주변과 잘 조화를 이루고 있다. 우슬초는 토양과 물을 거의 필요로 하지 않으며 갈라진 틈 가운데서도 잘 자라며 바위 속에서 그 틈을 넓히기도 한다. 또한 중동 지방에서 향을 내는 재료로서 뿐 아니라 의학적인 용도로도 사용이 되었고 그 마른 가지는 불을 붙이는데 사용하였다.
백향목과 우슬초는 그 용모나 필요, 기능에 있어서 극적인 대조를 이루고 있으므로 성경에서도 대조를 나타낼 때 전형적인 모습으로 등장한다.
“저가 또 초목을 논하되 레바논 백향목으로부터 담에 나는 우슬초까지 하고(왕상 4:33)”
백향목은 왕권, 능력, 자부심 등을 상징한다면 우슬초는 겸손을 나타낸다.
이스라엘 백성이 출애굽하기 전날밤 우슬초 묶음을 취하여 그릇에 담은 피에 적시어서 그 피를 문인방과 좌우 설주에 뿌렸는데(출 12:22) 우슬초는 애굽인들의 무서운 재앙에 대해 즐거워하기 보다는 겸손해야 함을 가르쳐준다. 십자가상에서 사람들이 신 포도주를 머금은 해융을 우슬초에 매어 예수의 입에 대었는데(요 19:29) 이 역시 비천함의 상징이었다.
유월절쯤이 되면 우슬초는 작고 하얀 꽃을 피우며 두껍고 잔털이 있는 잎을 내는데 그것은 출애굽 당시 붓으로, 십자가 상에서는 스펀지와 같은 역할을 했다. 성경에서 문둥병은 교만에 대한 징벌로 나타나는데 문둥병자가 정결케 되는 날에 백향목과 우슬초를 가지고 예식을 집행했다(레 14:4-8). 이에 대해 미드라쉬에서는 “하나님께서 백향목과 같이 교만하던 문둥병자를 우슬초와 같이 겸손케 하셨다”라고 설명한다.
순한 방부제 성분을 포함하며 독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는 우슬초는 다윗의 시에서도 등장한다. “우슬초로 나를 정결케 하소서 내가 정하리이다(시 51:7)”
(103) 로뎀나무 (white broom, רתֶם): 유대광야, 네게브, 시나이 반도등에서 자람. 콩과의 식물로 흰 꽃이나 연보라색 꽃이 핌. 뿌리는 식용으로 혹은 숯을 만드는데 사용. 오늘날 네게브, 시나이의 베두인들은 숯을 만드는데 사용. 마른 가지는 매트리스와 불을 피우는데 사용.
①뿌리로 숯을 만듦 (시 120:4) ②뿌리를 식용으로 사용-뿌리는 절대로 식용으로 사용 안 됨. 이것으로 빵을 구울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해야 함(욥 30:4, 대싸리) ③엘리야가 브엘세바에 있는 로뎀나무 아래서 신세를 한탄(왕상 19:4,5) ④엘리야가 숯불로 구운 빵을 먹음(왕상19:5-6)
(104) 짠나물 (saltplant, מַלוּחַ): 염분이 많은 곳에서 볼 수 있는 관목. 3m까지 자람. 잎은 은백색, 꽃은 보라색을 띰. 사람과 낙타에게 식용으로 사용. 잎은 날것으로 먹을 수 있으나 맛이 좋지 않으므로 비상시가 아니면 식용으로 사용 안함.
① 고난의 상징 (떨기나무 가운데서 짠 나물도 꺾으며 대싸리 뿌리로 식물을 삼느니라-욥 30:4)
(107) 가시나무 (poterium, spiny burnet, הריס, םיריס): 가시투성이의 오이풀속. Neot Kedumim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으로 매우 유용한 식물. 탄력성이 있어서 매트리스와 같은 역할을 하며 포도주 생산지에서의 필터 역할을 함. 마른 가지는 휴식처를 제공하며 울타리 역할을 하기도 함. 성서 시대에는 불을 붙이는 재료로 사용. 랍비주석에 의하면 다른 모든 나무보다 이 나무는 탈 때 소리가 요란한데 마치 ‘나도 나무요!’라고 주장하듯이 무식함을 드러낸다는 것. (‘빈 그릇이 요란하다’는 세익스피어의 말)
①열방에 임할 진노와 심판의 표현 (그 궁궐에는 가시나무가 나며-사 34:13, 가시덤불 같이 엉크러졌고-나 1:10) ②불을 붙이는 재료로 사용(전 7:6)
(108) 가시나무 (jujube, אָטָד): 추운 겨울에는 잎이 없으며 늦 여름에는 작고 신 야생능금 같은 열매를 맺음. 년 중 가시로 가득함. 예수의 ‘가시 면류관’의 후보 중 하나. 요담의 비유: 세겜 사람들은 이 나무에 친숙해 있었음. 그늘과 맛없는 열매를 제공, 그러나 공격적인 가시는 감람, 무화과, 포도와 대조. 특히 넓게 퍼지는 뿌리는 토양을 파괴.
①아비멜렉을 왕으로 삼은 세겜 백성들에게 비유로 한 말 중 아비멜렉을 상징(가시나무가 나무들에게 이르되 .... -삿 9:14,15) ②가마를 데우는 불의 재료(가시나무 불이 가마를 더웁게 하기 전에-시 58:9) ♠ 참고 : 요 19:2의 가시나무 - ακανθα (thorn)
(109) 감람나무 (olive, זָיִת): 번식력이 대단히 좋은 것이 특징. 감람가지는 물과 흙 없이도 며칠을 버틸 수 있음. 그것을 심으면 몇 주 내에 새로운 나무가 되어 자람.
(1) 용도: 기름의 원료(출 27:20), 성전가구의 자재(왕상6:23), 성전건축의 자재(왕상6:31), 초막건축의 자재(느8:15)
(2) 상징: 평화(창 8:11), 왕권(삿9:8), 이스라엘(렘11:16), 의인(시52:8), 풍부한 결실(사17:6, 시128:3)
(110) 무화과 (fig, תְּאֵנָה): 엷은 껍질, 짧은 줄기, 넓은 가지가 특징. 여름에 그늘을 선사. 이 나무의 특이한 모습을 예루살렘에 비유함(가장 낮은 곳에 짧은 줄기인 다윗성이 있으며 그 위에 도시주변이 넓게 형성). 히브리어로 베다니를 ‘בית תאנה’로, 벧바게를 ‘בית פג’로 봄. (פג-설익은 무화과)
(1) 용도: 벗은 몸을 가림(창3:7), 그늘(요1:48), 음식(삼상30:12), 선물(삼상25:18), 치료(사38:21)
(2) 상징: 번영과 평화(왕상4:25), 의인과 악인(렘24:1-10), 이스라엘의 열조(호9:10), 열매 없는 신앙(마21:19), 재림에 관한 비유(마24:32)
(111) 포도나무 (grapevine, גֶפֶן): 가나안 땅의 대표적인 작물.
①홍수 후에 노아가 심음(창9:20) ②술 맡은 관원장의 꿈(창40:9) ③요담의 비유(삿9:12,13)
상징: 유다사람(사5:1-7), 번성(호14:7), 그리스도(요15:1), 평화(왕상4:25), 아내(시128:3), 심판(계14:18)
(113) 뽕나무 (돌무화과, sycomore, Egyptian fig, שִׁקְמָה): 번식력이 느림(이 나무와 감람나무를 사울과 다윗에 비유). 가지를 잘라 심으면 감람나무는 몇 주안에 새로운 나무로 자라나지만 이 나무는 곧 시들어 죽어버림. 그러나 그 나무 자체는 재생기능이 뛰어나며 600년을 살 수 있다.
(שׁקם-rehabilitate) 이 나무에 올라갔던 삭게오가 영적, 도덕적으로 회복된 것은 이 나무의 어원과도 잘 부합된다.
①평지(쉐펠라)의 뽕나무같이 많게 함(왕상 10:27) ②뽕나무를 배양하던 선지자 아모스(암7:14) ③뽕나무에 올라간 삭게오(눅19:4)
(115) 버드나무 (willow, עֲרָבָה): 길고 좁은 잎과 짧고 둥근 잎을 갖고 있음. 잎 모양이 혼합적(ערב-mix)임. 유브라데스 강가에서 자람. 바벨론으로 유배된 유대인들이 하프를 걸고 울었던 나무.
①모압에 관한 경고(버드나무 시내를 건너리니-사15:7) ②버느나무에 수금을 걸고 시온을 기억하며 울었음(시137:2) ③초막의 재료(레23:40)
(116) 수양버들 (mountain poplar, צַפצָפָה)
①유다의 멸망에 관한 비유(수양버들 가지처럼 큰 물가에 심더니-겔17:5)
(117) 다볼상수리나무 (Tabor oak, התָבוֹר אַלוֹן)
① 사울이 세 사람을 만난 곳(삼상10:3)
(118) 칡 (밧줄 식물, rope plant, יִתרָן): 삼손의 밧줄로 불려지는 이 식물은 빽빽하고 어두운 색의 관목으로 모래땅에서 자라며(삼손과 들릴라가 사는 지역에서는 자라지 않음) 노란색의 작은 꽃을 피운다. 이것을 꼬면 아주 강하여 진흙 속에서 지프차를 끌 수 있을 정도가 된다.
① 마르지 아니한 푸른 칡 일곱으로 나를 결박하면 (삿16:7)
(119) 골짜기의 백합화? (narcissus, נַרקיס ,הָעֲטָקִים שׁוֹשַׁנַת) - 아 2:1. 12-1월에 흰 꽃이 핌.
(120) 찔레 (golden thistle, חוֹחַ): 3월에 싹이 트고 6월에 노란 꽃이 핀다. 이 식물은 갈색으로 되었다가 늦여름이 되면 희끄무레한 색으로 변한다. 대개 narcissus(골짜기의 백합화)와 함께 자란다. 술 취한 자가 아름다운 narcissus를 꺾으려 하다가 찔레의 가시에 찔려 고통을 당하게 된다.(잠26:9)
①밀 대신에 찔레가 나고(욥31:40) ②미련한자의 입의 잠언은 술 취한 자의 손에 든 가시나무 같으니라(잠26:9) ③고난을 상징(호9:6)
(121) 소나무 (Syrian maple, תִּדהָר)
①이스라엘의 회복을 상징(사41:19) ②레바논의 영광을 상징(사60:13)
(124) 사과 (apple, תַּפּוּחַ)
①첫사랑을 상징(아2:3, 5, 7:9, 8:5) ②경우에 합당한 말은 아로새긴 은쟁반에 금사과니라(잠25:11) ③지명(수17:8) ④인명(대상2:43)
(132) 석류나무 (pomegranate, רִמּוֹן): 잘 정돈되고 맛있는 많은 씨들로 인해 ‘有福함’을 상징. 전통에 의하면 완전한 석류는 그 씨가 계율의 수와 같은 613개라고 함. 따라서 대제사장의 의복에, 그리고 율법 두루마리에 그 모양을 장식한다. 열매의 모양은 종(bell)과 같다(방울로 번역-출39:26).
①석류모양의 장식: 제사장의 에봇(출28:33), 성전기둥(왕상7:18) ②상징 : 풍부한 결실(학2:19), 사랑하는 여자의 뺨(아4:3) ③정탐군이 취한 것(민13:23) ④석류즙으로 술을 만들기도 함(아8:2) ⑤이스라엘 땅의 소산물(“밀과 보리의 소산지요 포도와 무화과와 석류와 감람들의 나무와 꿀의 소산지라”-민8:8) ⑥지명(림몬, 유다지역-수15:32등) ⑦인명(림몬, 삼하4:2)
(134) 고벨화 (henna, כּפֶר) : 이 나무의 잎을 빻으면 유명한 ‘헤너가루’가 된다. 유월절과 초막절 사이에 크림모양의 꽃이 피는데 그 냄새는 멀리서도 느낄 수 있을 정도로 강하다. 오늘날 엔게디에는 볼 수 없고 여리고에서 많이 볼 수 있다.
①사랑하는자의 비유(엔게디 포도원의 고벨화 송이-아1:14, 4:13)
(140) 길르앗의 유향? (poss. balm of
(154) 살구나무 (almond, שָׁקֵד) - 이스라엘에 있는 과일나무 중 가장 일찍 꽃(흰꽃)이 핌. 히브리어
‘שָׁקֵד’는 ‘watch’(렘1:11, 12, 시127:1-파숫군의 경성함), ‘quickness’, ‘diligence’의 뜻.
①요셉의 형들이 요셉에게 준 예물(파단행: 편도-감복숭아, 창43:11) ②성전등대(메노라)의 잔의 무늬(출25:33) ③아론의 지팡이에 열매가 맺힘(민17:8) ④노년의 백발을 상징(전12:5) ⑤예레미야가 본 환상(렘1:11) 참고: 창30:37의 살구나무는 לוּז(Heb. & Arab.)
(155) 종려나무 (date palm, תָּמָר): 암수는 수수의 꽃가루에 의해 생산가능. 늦여름이나 초가을(숙곳: 초막절 시기)에 열매가 익음. 칼 모양의 가지는 승리를 상징.
①열매는 식용(욜1:12) ②성전에 그 형상을 조각(왕상6:29) ③가지는 초막의 재료로 씀(레23:40) ④재판하는 장소로 사용(삿4:5) ⑤상징 : 의인(시92:12), 미인(아7:7), 승리(요12:13) ⑥종려의 성읍(신 34:1-3, 삿3:13,대하28:15) ⑥인명(다말-유다의 며느리, 압살롬의 누이, 압살롬의 딸) ⑦지명(다말-사해의 남쪽지방, 겔47:19, 48:28)
(156) 갈대 (cattail, סוּף) : 나일강 주변에서 자람.
①아기 모세를 갈대사이에 둠(출2:3,5) ②홍해(출13:18 등 26회)
(157) 갈대 (reed, קָנֶה, καλαμος, ‘cane’<지팡이, 막대기>의 어원): 길고 탄력적이고 속이 빈 줄기는 매트와 울타리를 만들기에 안성마춤이며 그것을 날카롭게 하여 칼, 또는 펜(서기관들의)을 만들었음. 전통에 의하면 성전에서 사용한 플룻은 이것으로 만들었다고 함. 고대 이집트에서는 이것을 나일강의 수위계(Nilometer)로 사용.
①회초리로 사용(마 27:30) ②척량 도구로 사용(한장대-겔40:5, 계11:1, 21:15) ③상징: 연약(상한 갈대 지팡이-사36:6), 긍휼(상한 갈대-사42:3)
(158) 쥐엄 (carob, חָרוּב): 높이는 10m, 열매의 크기는 25cm. 가축의 사료로 사용했음.
(159) 샤론의 수선화? 장미? (
(161) 백합화 (Madonna lily, שׁוּשׁן)
①아름다움을 상징(아 5:13) ②영적 성장을 묘사(호14:5) ③솔로몬궁 낭실 기둥 꼭대기의 무늬(왕상 7:19) ④지명(수산궁, 에1:2 등)
(162) 호도 (호두, walnut tree, אֱגוֹז): 깊은 토양과 물과 약간의 겨울서리 등이 있어야 자람. 4월경에 꽃이 피고 10월에 열매가 익음. ① 호도 동산(아6:11)
(163) 합환채 (mandrake, love-apple, דוּדָאים): 12-2월에 자주색의 꽃이 피며 4-5월에 밤보다 조금 큰 노란색 열매를 맺는데 이것은 동물과 새들의 먹이가 된다. 이 열매와 뿌리는 톡 쏘면서도 향기로운 맛을 내며 최음제(催淫劑)로도 사용된다. 크고 균형 잡힌 뿌리는 남성의 인체와 비슷하다. (‘דוד’ - love)
①레아가 합환채로 라헬에게 남편을 샀음(창30:14-16) ②신랑에 대한 사랑에 비유(아7:13)
(164) 푸른나무 (thorny broom, אֶזרָח) - 악인의 큰 세력을 비유(시37:35)
(175) 밀 (wheat, חִטָה): 칠칠절(오순절)에 추수 시작.
원글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