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막절
[초막절에 대하여]
-시기: 유대력으로 티쉬리 15일, 대속죄일 닷새 후,
-레23:34, 39, 42, 43절
-일곱번째 절기, 일곱번째 달, 7일간 지킨다.
-유래
유월절 칠칠절 장막절 유대 3대절기중에 하나. 고대엔 가장 큰 절기
1. 출애굽 이후 40년간의 광야생활을 기념하는 것. 즉, 약속의 땅으로 들어 온 이스라엘이광야 생활을 기억하고 또 현재의 축복에 감사
2. 올리브, 포도 등 추수하는 수장절로 일년 중 마지막 추수 축하 - 농경적 요소
“너는 네 곡식과 네 포도주를 거둬들인 후 칠 일 동안 장막절을 지킬지니라” (신16:13)
-절기 지키는 방법
장막절을 지키는 방법은 레위기 3:39-43
첫째 장막에 거한다
둘째 아르바 미님 즉, 아름다운 과실(에트로그), 종려나무가지(룰라브), 무성한 가지(하다스 도금양 나뭇가지), 시내버들(아라바) 등 4개를 취하여, 하나님 앞에 칠일 동안 즐거워함
셋째 제단에 물 붓기
평상시에는 제단에 희생제물을 바친 후 포도주를 부었다. 장막절엔 포도주 대신 물을 붓는다. “심핫 벳 하 쇼에바” “물긷는 곳의 기쁨” 실로암에 가서 물을 긷는다. 비를 기원하는 의미. 비가 와야 농사를 짓는다. “그러므로 너희가 기쁨으로 구원의 우물들에서 물을 길으리로다.”
초막절의 첫 이틀, 그리고 마지막 날에는 특별한 예식이 거행되며 전통적인 성결 의식이 행해진다. 조그만 예식이 7일 동안 매일 아침마다 가정에서 혹은 회당에서 행해진다. 오른손에는 버드나무로 연결된 종려가지를 들고, 왼손에는 이스라엘의 아름다운 소산의 아름다운 과실인 시트론을 든 후 축복서가 낭송되며 그 후 그것을 네 방향으로 흔든다. (종려가지 오른손, 도금양 세개, 버드나무 가지 두개, 에트로그 한 개 왼손)
-초막절의 4가지 식물
레 23:30에 보면 4가지가 나오지만 전체는 말하고 있지 않다.
단지 현자들이 이 4가지를 Etrog, Lulav, Hadas, Aravah 로 정했다.
① Etrog - 이스라엘 사람들은 '에트로그'를 잘 선택하려고 노력한다. 현자들은 이 Etrog가 계란보다 적어서는 안 된다고 한다.
② Lulav - 종려 나무의 어린 가지이다. 이것은 잎사귀가 벌어지기 전에 나무의 중심 부분에 가까이 있으므로 이것은 곧아야 하고 싱싱하고 초록색이어야 한다. 시든 것은 가치가 없다.
③ Hadas - 도금양, 은매화 나무로 번역할 수 있다. 이것은 냄새가 짙고 좋다.
④ Aravah - 버들가지, 물이 흐르는 시냇가에서 자란다.
-4가지 식물의 의미
1. 네 가지의 식물은 비를 기원 – 농사에 비는 필수
2. 아브라함, 이삭, 야곱, 요셉을 의미
아름다운 과실: 맛과 향기 즉, 토라를 알고 실천
종려나무가지 : 맛은 있으나 향 없음 즉, 토라를 알기만 하고 행치 않음
도금양 가지 : 맛은 없으나 향기 있음 즉, 토라 알지 못하지만 선을 행함
버들가지 : 맛도 없고 향도 없음 즉, 토라를 알지도 못하고 행치도 않음
-일곱째 날 “호사나 라바” (큰 구원의 날).
호사나 라바가 되는날 아르바 미님을 들고 회당을 일곱 바퀴 돈다. 일곱 바퀴를 돈후 버들가지의 줄기를 으깨어 부순다. 줄기가 부서지는 것을 보며, 그들의 마지막 죄까지도 다 으깨어지는 것을 경험. 또 비 내리기를 간구하며, 내년에도 버들에 물이 오르기를 기도.
-마지막날 호샤 나 랍바 (큰 구원의 날)
할렐시 113-118편 (마지막 장- 여호와여 구하옵나니 이제 구원하소서)
여호와여 구하옵나니 이제 구원하소서
여호와여 우리가 구하옵나니 이제 형통케 하소서
여호와의이름으로 오는 자가
복이 있음이여
우리가 여호와의 집에서 너희를 축복하였도다
(시118:25-26)
예루살렘 유대학 연구소 이강근 박사